어쨌든 두 사람은 결혼하고 개성에 신접살림을 차렸다. 이후로 이성계는 단순히 승전을 거듭한 전쟁 영웅이 아니라 원대한 포부를 가진 정치가로 거듭난다. 물론 이성계를 변모시킨 인물은 강씨였다. 강씨는 훗날 조선 개국 후 조선의 첫 국모가 되는데, 이는 단순히 이성계의 사랑에 의지하여 얻은 자리가 아니었다. 오히려 이성계를 조선의 국조가 되게 한 주역이었다.
이성계는 계성에서 올라와 정계에 발을 들였지만 쉽게 자리를 잡지 못했다. 전쟁 영웅이라는 입지 덕분에 정몽주나 정도전 등의 신진 세력이 관심을 보이고 다가왔지만 그것이 오히려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전장에서는 이름이 높으면 적장이 미리 겁을 먹고 달아나기 빠쁘고 휘하에 군대가 많으면 적군이 미리 꼬리를 내리는 것이 보통이었다.
하지만 정치판에서 이름이 높을수록 비난의 강도가 더 높아졌고 세력이 늘어날수록 장적도 함께 늘어났다. 전장에서는 거칠것이 없는 그였지만 흉계와 음모와 협잡이 판치는 정치판에서는 이제 갓 걸음마를 뗀 초년생에 불과했기에 매일같이 살얼음판을 걸었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 무장으로만 살아온 그에게는 생리적으로 정치판이 맞지 않았고 쉽게 적응도 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여러 차례 다시 함흥으로 돌아가려 했지만 그때마다 강씨가 만류하며 그에게 용기를 주고 타개책을 마련해줬다.
당시 이성계를 제거하기 위해 혈안이 됐던 대표적인 인물은 우왕을 왕위에 앉히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귄신 이인임이었다. 이인임은 이성계가 전쟁 영웅의 입지를 바탕으로 반란을 일으킬지도 모르는 위험한 인물이라고 판단했다. 더구나 정몽주나 정도전 같은 다소 과격한 신유학자들이 이성계와 친분을 쌓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이성계는 둘째 아들 이방과를 이인임에게 보내 자신에게는 역심이 없음을 보이려 했지만, 이인임은 오히려 이방과를 앞에 앉혀 놓고 “나라가 장차 이씨에게 돌아갈 것이다”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물론 이씨는 전쟁 영웅 이성계를 지칭한 것이다. 당시 시중이었던 이인임의 입에서 이런 말이 나왔으니 이성계가 역적으로 몰릴 상황이었다. 그나마 다행으럽게도 우왕의 신임이 두터웠던 최영이 이성계를 신뢰하고 있었다. 최영은 신흥대국 명나라와 왜구 원나라 잔당들이 위협하는 전시 상황에서 이성계는 꼭 필요한 인물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이인임의 공격이 있을 때마다 이성계의 방패막이가 되어주었다. 하지만 이인임은 간계에 능할 뿐 아니라 온갖 풍상을 다 겪은 노련한 정치인이었다. 그가 일단 이성계를 역적으로 몰려고 마음먹었다면 이성계가 역적 신세로 전락하는 것은 한순간이었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이성계를 구한 사람은 다름 아닌 부인 강씨였다. 강씨는 이인임의 칼날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인임을 안심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가장 좋은 방책은 그와 같은 편이 되는 것이고, 같은 편임을 증명하는 가장 확실한 방도는 결혼을 통해 인척 관계를 맺는 것이었다. 당시 왕실은 물론이고 권력가들이 서로 결탁하는 방도로 가장 좋은 것이 정략결혼이었던 까닭이다.
강씨는 이인임과 인척 관계를 맺기 위해 주변 인척들을 십분 활용했다. 강씨의 형부는 신귀라는 인물이었는데 신귀의 형인 신예는 이인임의 여동생 남편, 즉 매제였다. 따라서 강씨의 언니와 이인임의 여동생은 동서지간이었다. 이 관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목표는 이성계와 자신의 딸(훗날 경순공주)을 이인임의 동생인 이인립의 장남과 결혼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마침내 강씨는 1386년에 이인립의 장남 이제를 사위로 맞아들이는데 성공했다. 이성계와 이인임을 인척 관계로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이다. 덕분에 이성계는 이인임의 공세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